💜 제로 일상/✔️ 자기개발

2024년 JLPT 일본어능력시험 일정

쵸제로 2024. 1. 15. 16:24

중학교 때부터 독학으로 공부를 시작했던 일본어는 내 생각보다 많이 익숙해져 있는 것 같다. 최근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를 한국 개봉 전 일본 영화관에서 자막 없이 봤을 때, 대부분 이해할 수 있는 나를 발견하고 새삼 놀랐었다. 하지만 모든 언어 공부의 장벽인 문법을 시작하면서부터, 시험공부라는 것은 어렵기만 하기 때문에 미룰 수 있다면 무슨 핑계를 대서든 미루고 있었다. 작년까지는 편입한 학교 공부를 핑계로 미뤄왔지만, 올해는 언어 자격증 취득의 해로 결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목차

      1. 2024 JLPT 시험 일정

     2. 2024 JLPT 시험 접수 일정 및 접수 방법

     3. JLPT 수험료 (VAT 포함)

        3-1. 新JLPT 레벨안내

        3-2. 새로운 [일본어능력시험] 인정기준

     4. JLPT 접수 준비물

     5. JLPT 시험 실시 지역

     6. 수험 시간표

     7. 시험당일 주의사항

        7-1. 시험성적 무효 사항

     8. 시험결과의 통지

        8-1. 시험결과의 표시

        8-2. 합/불합격의 판정

        8-3. 시험결과 통지의 예

        8-4. 득점등화란?

1. 2024 JLPT 시험 일정
2024년 제1회 JLPT 시험 실시일자 2024년 제2회 JLPT 시험 실시일자
2024년 7월 7일 일요일  2024년 12월 1일 일요일 

★ 규정 신분증 미지참시 시험응시 절대 불가합니다.
★ 시험이 시작되는 13시 30분 이후 시험장 입장은 불가하며, 2교시도 응시할 수 없습니다.


2. 2024 JLPT 시험 접수 일정 및 접수 방법
구 분 제 1 회 시험접수 일정 제 2 회 시험접수 일정 접수 방법
인터넷접수 4월 1일(월)
9월 1일(일)
~  
시험장 선택 가능
우편접수     원서작성(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증명사진 1매(뒷면에 이름,생년월일,휴대전화번호 기재),
수험료(우체국 통상환)와 함께 등기우편으로 발송
(시험장 선택 불가)
추가접수     인터넷 접수만 가능, 우편접수 없음

3. JLPT 수험료 (VAT 포함)
구 분 수험료
일반접수 N1 ~ N3 60,000원
N4  ~ N5 45,000원
추가접수 N1 ~ N3 66,000원
N4  ~ N5 49,500원

3-1. 新JLPT 레벨안내

시험은 N1, N2, N3, N4, N5로 나뉘어 있어 수험자가 자신에게 맞는 레벨을 선택합니다.
각 레벨에 따라 N1~N2는 언어지식(문자ㆍ어휘ㆍ문법)ㆍ독해, 청해의 두 섹션으로, N3~N5는 언어지식(문자ㆍ어휘), 언어지식(문법)ㆍ독해, 청해의 세 섹션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시험과목과 시험시간 및 인정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인정기준을 「읽기」,「듣기」의 언어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각 레벨에는 이들 언어행동을 실현하기 위한 언어지식이 필요합니다.


3-2. 새로운 [일본어능력시험] 인정기준
레벨 과목별 시간 인정기준
유형별 시간
N1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110분 기존시험 1급보다 다소 높은 레벨까지 측정

읽기 - 논리적으로 약간 복잡하고 추상도가 높은 문장등을 읽고,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면, 다양한 화재의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상세한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 강의를 듣고,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나 내용의 논리구성 등을 상세히 이해하거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청해 60분
170분
N2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105분 기존시험의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 -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나 해설 평이한 평론 등, 논지가 명쾌한 문장을 읽고 문장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화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를 듣고,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를 이해하거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청해 50분
155분
N3 언어지식(문자·어휘) 105분 기존시험의 2급과 3급사이에 해당하는 레벨(신설)

읽기 - 일상적인 화제에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신문의 기사제목등에서 정보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다. 일상적인 장면에서 난이도가 약간 높은 문장을 바꿔 제시하며 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를 듣고,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등장인물의 관계등과 함께 거의 이해할 수 있다.
언어지식(문법)·독해
청해 40분
145분
N4 언어지식(문자·어휘) 85분 기존시험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 - 기본적인 어휘나 한자로 쓰여진,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화제의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듣기 - 일상적인 장면에서 다소 느린 속도의 회화라면 거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언어지식(문법)·독해
청해 35분
120분
N5 언어지식(문자·어휘) 65분 기존시험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읽기 -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한자로 쓰여진 정형화된 어구나,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듣기 -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장면에서 느리고 짧은 회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언어지식(문법)·독해
청해 30분
95분

※ N3 - N5 의 경우, 1교시에 언어지식(문자·어휘)과 언어지식(문법)·독해가 연결실시됩니다.


4. JLPT 접수 준비물
사진 인터넷접수  사진파일 등록
    파일 형식: jpg 형식만
    파일 용량: 30kb~2mb
    그림 사이즈: 360x480픽셀(가로x세로)
우편접수  증명사진(3x4cm) 1매
 사진 뒷 면에 이름,생년월일,휴대전화번호 기재
※ 합격인정서에 사진이 인쇄됩니다. 꼭 본인 사진을 등록하세요.

5. JLPT 시험 실시 지역
실시권역 시험장 설치 지역
서울권 서울, 인천, 수원, 성남, 안양, 고양, 부천, 천안,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춘천, 원주
부산권 JLPT 부산사무국(www.bsjlpt.or.kr) - 영남지역
제주권 JLPT 제주사무국(www.jlpt.or.kr)
※ 일부 지역에서 시험이 실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수험 시간표

→ 13시 10분부터 시험 안내방송이 시작되므로 시간에 맞춰 입실해 주시기 바랍니다.
→ 13시 30분 이후에는 시험장 입장 불가하며, 2교시 응시도 할 수 없습니다.

입실시간 레벨 1교시 휴식 2교시
13:10 N1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13:30 ~ 15:20
15:20 ~ 15:40 청해
15:40 ~ 16:40
N2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13:30 ~ 15:15
15:15 ~ 15:35 청해
15:35 ~ 16:30
N3 언어지식 (문자·어휘)
13:30 ~ 14:00
언어지식(문법)·독해
14:05 ~ 15:15
15:15 ~ 15:35 청해
15:35 ~ 16:20
N4 언어지식(문자·어휘)
13:30 ~ 13:55
언어지식(문법)·독해
14:00 ~ 14:55
14:55 ~ 15:15 청해
15:15 ~ 15:55
N5 언어지식(문자·어휘)
13:30 ~ 13:50
언어지식(문법)·독해
13:55 ~ 14:35
14:35 ~ 14:55 청해
14:55 ~ 15:30

※ N3 - N5 의 경우, 1교시에 언어지식(문자·어휘)과 언어지식(문법)·독해가 쉬는 시간 없이 바로 이어서 실시됩니다.


7. 시험당일 주의사항

※ 시험당일 신분증 미지참자는 절대 시험 응시가 불가능합니다.
시험 당일에는 수험표, 신분증 및 필기도구(HB연필, 지우개)를 반드시 지참하십시오.
● 신분증

구분 규정 신분증 분실시 대체 신분증
일반인,대학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기간 만료전의 여권, 공무원증, 장애인 복지카드
정부24ㆍPASS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모바일 운전면허증(경찰청 발행), 모바일 공무원증
해당 주민센터에서 발급한
기간 만료 전의
'주민등록증 발급 신청 확인서'
중,고등학생 주민등록증, 기간 만료 전의 여권, 학생증, 청소년증,
장애인 복지카드
홈페이지에서 양식 다운로드
(https://www.jlpt.or.kr/info/info2.asp?Mcode=2)
(기관장 날인 필수)
초등학생 기간 만료 전의 여권, 주민등록등(초)본, 건강보험증, 청소년증,
장애인 복지카드
군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기간 만료 전의 여권,
공무원증(장교,부사관,군무원), 공익근무요원증
외국인 기간 만료 전의 여권, 외국인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없음

※ 인정되지 않는 신분증 : 대학(원) 학생증, 국제운전면허증, 통신사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밀리패스,
  유효기간이 지난 신분증, 원본이 아닌 촬영/복사본 등 상기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신분증
● 수험표

 당 사무국 홈페이지에서 출력하며, 반드시 본인의 사진이 출력된 수험표이어야 합니다.(흑백가능)
● 필기도구
 HB연필 및 샤프펜슬(싸인펜, 볼펜 등은 채점 불가), 지우개


7-1. 시험성적 무효 사항

다음의 각 1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부정행위로 간주하며, 위원회는 부정행위자에 대해 2년간 응시자격 제한하며, 성적을 무효처리한다. (단, 신분증 위ㆍ변조를 행한 수험자에 대해서는 추가로 형사고발 조치한다)

1. 시험 중 전자기기 (휴대전화, 시계 등)의 사용이나 벨소리ㆍ진동 또는 알람음이 울렸을 경우
2. 컨닝행위
3. 대리시험 및 부정신분증을 사용하는 행위
4. 시험 감독원의 지시를 거부하는 행위
5. 시험종료 후 문제지ㆍ답안지를 제출하지 않는 행위
6. 수험표등에 해답을 적거나 가지고 나가는 행위
7. 문제지, 답안지(미기입 답안지 포함)의 촬영 또는 청해음원을 녹음하는 행위 및 해당 내용을 인터넷이나 기타 방법으로 공개하는 행위
8. 시험장 내 소란 등 다른 수험자에게 방해가 되는 행위
※ 기타 수험자 유의사함 등은 당 사무국 홈페이지의 JLPT시험관리규정을 필독하시어 불이익을 받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8. 시험결과의 통지

- 시험 결과는 1회 시험-8월 말(예정)/2회 시험-1월 말 경(예정)에 인터넷으로 먼저 발표됩니다.(합/불결과 및 성적 확인가능)
- 수험자 전원에게 1회 시험-9월 말(예정)/2회 시험-2월 말 경(예정)에 시험 결과가 택배 발송됩니다(합/불결과 표기되어 있음).
- 합격자의 경우 日本語能力認定書(일본어 능력 인정서)와 日本語能力試験 認定結果及び成績に関する証明書(일본어능력시험 인정결과 및 성적에 관한 증명서) 함께 발송되며, 불합격자의 경우 日本語能力試験 認定結果及び成績に関する証明書(일본어능력시험 인정결과 및 성적에 관한 증명서)만 발송됩니다. 미수령 시 1회 시험-10월 10일/2회 시험-3월 10일까지 각 사무국으로 통보하여 주십시오. 1,2회 시험 모두 인터넷 성적발표 후 성적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며 재발급 수수료(11,000원)가 부과됩니다.

※ 2012년도부터 인정서에 사진이 인쇄됩니다. 인정서는 합격한 해에 1회만 발급되며 재발급되지 않습니다.
※ 성적에 관한 문의는 일절 답변하지 않습니다.


8-1. 시험결과의 표시
레벨 득점 구분 득점 범위
N1, N2, N3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0 ~ 60
독해 0 ~ 60
청해 0 ~ 60
종합득점 0 ~ 180
N4, N5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0 ~ 120
청해 0 ~ 60
종합득점 0 ~ 180

N1, N2, N3의 득점구분은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청해’의 3 구분입니다.
N4, N5의 득점구분은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와 ‘청해’의 2 구분입니다.


8-2. 합/불합격의 판정

새로운 일본어능력시험은 종합득점과 각 과목별 득점의 두 가지 기준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정합니다. 즉, 종합득점이 합격에 필요한 점수(합격점) 이상이며, 각 과목별 득점이 과목별로 부여된 합격에 필요한 최저점(기준점) 이상일 경우 합격입니다.

구분 합격점  기준점 
 언어지식 독해 청해
N1  100 19 19 19
N2  90 19 19 19
N3  95 19 19 19
N4  90 38 19
N5  80 38 19

8-3. 시험결과 통지의 예

다음 예와 같이 ① ‘득점구분 별 득점’과 득점구분 별 득점을 합계한 ② ‘종합득점’, 앞으로의 일본어 학습을 위한 ③ ‘참고정보’를 통지합니다. ③ ‘참고정보’는 합격/불합격 판정 대상이 아닙니다.

*예 N3을 수험한 Y씨의 ‘합격/불합격 통지서’의 일부성적정보 (실제 서식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득점 구분 별 득점 ② 종합득점
언어지식 (문자·어휘·문법) 독해 청해
50/60 30/60 40/60 120/180
③ 참고 정보 A 매우 잘했음 (정답률 67% 이상)
B 잘했음 (정답률 34%이상 67% 미만)
C 그다지 잘하지 못했음 (정답률 34% 미만)
문자·어휘 문법
A C

8-4. 득점등화란?

서로 다른 시기에 실시되는 시험에서는 출제되는 문제가 다르므로 아무리 신중하게 출제를 해도 매회 시험의 난이도가 다소 변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신시험에서는 ‘등화’ 방법을 통해 다른 시기에 실시된 시험 득점을 공통 척도상의 득점으로 표시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Z씨가 어느 해 7월과 12월에 N2를 수험했을 경우 득점구분의 ‘청해’ 결과를 표시했습니다. 이 두 번의 시험은 7월보다 12월이 어려웠다고 합시다. Z씨가 두 번의 시험 모두에서 전체 20문제 중 10문제를 정답이었을 경우 정답 수만을 비교하면 Z씨의 능력에는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편 등화에 따라 얻은 척도 점수는 7월은 30점, 12월은 35점으로 어려웠던 12월 시험의 득점이 높습니다. 이와 같이 시험 결과를 척도득점으로 표시함으로써 시험 난이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험자가 능력의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월 12월
'청해'정답 수 20문제 중 10문제 20문제 중 10문제
등화된 '청해' 척도득점 30점 35점

*표 내의 문제 수 및 득점 숫자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실제 척도점수 표시에 의한 것은 아닙니다


※ 본문은 JLPT 공식 사이트(https://www.jlpt.or.kr)의 수험 안내 양식들을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JLPT

 

www.jlpt.or.kr